뭔 이미지를 넣어야 잘 넣었다고 소문이 날까?

ads header

 프라임칼리지 (이하 프칼)의 정보는 당연히 홈페이지가 가장 많다. 다만,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정보들 중에서 원하는 것을 찾기가 어려울 뿐.

https://smart.knou.ac.kr/smart/index.do?epTicket=LOG

위는 홈페이지다.


공지사항에서도 중요한 내용이 많은데, 아래 링크는 개괄적인 프칼 대학생활을 담은 길라잡이이다.

https://smart.knou.ac.kr/bbs/smart/2077/736738/artclView.do?layout=unknown



어떤 과목을 선택할지가 문제인데, 나는 두가지를 참고했다.
가장 중요하게 참고한 것은 학교에서 제공하는 전공로드맵이다.


위 그림은 2025년 기준인데, 달라질 수 있으니 홈페이지에서 찾아가는 것이 좋다. 현재의 링크는 이곳이다.

위 로드맵은 가장 왼쪽에 일종의 방향성을 명기하고 있다. 가장 위의 전공기초를 제외하면 그 아래 각각의 항목들이 한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목들을 보여주고 있다. 
위 과목들은 모두 전공인데 유일하게 대학기초수학만 교양이다. 개인적으론 수학을 공부한 지 시간이 꽤 흘렀다면 수강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물론, 다른 전공들을 듣다가 필요한 부분만 유튜브 같은 곳에서 보는 것도 방법이긴 하다.

다른 하나는 강의 맛보기 인데, 역시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다만, 이건 좀 권할만하다 생각지 않는 이유가, 어차피 첫 강은 일종의 소개 정도인데 이후에 나올 파트의 난이도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학습 곡선이 가파르게 올라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 어차피 들어야 할 과목이라 생각되는 것 위주로 골랐다. 강의 영상으로 안되면 추가로 유튜브 등의 자료를 참고할 수 밖에 없어 보인다.

아무래도 저학년에 편성된 과목들이 선수과목의 성격이라 3학년으로 편입한 나는 1, 2 학년에도 들어야 할 과목들이 꽤 많았고, 그래서 교양은 위의 대학수학기초 외에는 선택하지 못했다. 

어차피 학사 학위가 없는 것도 아니고, 돈 내고 관심 있는 것을 들으러 온 것이라서 선택은 편하긴 했다. 다만, 이렇게 선택하다 보면 다음 학기 장학금은 물 건너 가기 쉬운 것이 단점이다.

아무래도 학과 성격이 있다 보니 과목들마다 실습 내용이 많아서 PC 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온라인 실습을 제공 한다는데, 그것도 어차피 pc 가 접속이 편할테고......

오프라인이 아니라서 모든 일정을 스스로 파악해야 하기에 공지를 자주 봐야 하는 것도 주의해야 하고, 과목별 정보들이 모두 강의계획서 등 온라인으로 제공되기에 여기저기 둘러봐야 할 곳들도 많다.

정말 오랜만에...... 학창 시절에 강의 듣다가 나도 모르게 졸았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땐 왜 그랬나 싶었는데, 다시 느껴보니 여전하긴 하다. ^^;;;;;;





Read more ...
기존 4년제 대학 졸업자라서 방송대 프라임칼리지(이하 프칼)에는 3학년으로 편입한다.
전공은 ai 학과이고, 이 내용은 그에 관해 앞으로 채워나갈 기록이 되겠다.

2025년도 1학기 입학을 신청했는데, 여기는 대부분 미달이라 자격만 갖추고 신청하면 다 될 것이다. 

방송대와 방송대 프칼은 같으면서도 조금 다른데, 프칼은 방송대에 속한, 약간 제도가 다른 단과대학 정도로 봐도 될 것이다.

차이점은, 프칼은 일단 학비가 비싸다. 사립대 만큼은 아니지만, 방송대가 약 30만원대의 한 학기 등록금이 들어가는데 반해, 프칼은 100만원대이다. (학점신청이나 장학금에 따라 다르지만)

그리고, 방송대는 대부분의 과목에 출석수업이 있다. 코로나 시국에서는 이게 화상강의로 대체되면서 시간이 줄었는데 지금은 거의 원상복구 되어서 과목당 약 3시간 정도를 출석하게 되고, 시험도 출석해서 태블릿으로 치르는데 반해, 프칼은 모든데 다 온라인이라는 차이가 있다.

ai 전공은 딱히 필요해서 신청한 건 아니고, 재미삼아 신청한 케이스인데, 기존의 4년제는 공대를 다녔고 이후 작년에 방송대 법대를 졸업했다.

이 블로그의 주인장은 현업에 필요해서 뭔가를 배울 나이는 지난 케이스라서 위 법대나 ai학과는 모두 주인장의, 일종의 취미 생활 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일단, 2월 본강의에 앞서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있는데, 그에 관한 개인적으로 공부했던 기록을 조금 남긴다.



유튜브 파이썬 강의 영상



유튜브 r 강의 영상





Read more ...

밑의 내용은 전적으로 일개 개인의 생각입니다.

-----------------------------------------------------------


주식이나 부동산 등 모든 자산은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 나라의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경제성장은 gdp 증가율로 따지죠.

현재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2%로 봅니다.

 

그럼, 이 gdp 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4가지로 구성됩니다.

1. 가계 소비

2. 정부 재정지출

3. 기업 투자 (건설, 설비, 지식재산생산물, 재고)

4. 순수출 (수출-수입)

 

미국은 저기서 가계소비가 제일 크고...

우리나라는 순수출이 50%가 살짝 안되죠.

 

우리나라는 급격하게 인구가 늙고 있습니다.

그리고 줄 예정이죠.

당장은 노인인구가 늘어나니 소비가 늘지 않느냐.. 아닙니다.

노인분들 보시면 아시겠지만,

설령 돈이 좀 있더라도 극도로 절약을 하게 됩니다.

언제 아파서 몫돈이 들어갈지 모르고, (대부분의 경우 돈을 마련하는 단 하나의 창구인) 근로 수입은 없으니까요.

나이들면 놀기도 귀찮습니다. 몸도 안좋고...

노새 노새 젊어서 놀아... 가 사실, 경험칙입니다.

 

작년 출생인구는 24만명대입니다.

이사람들이 결혼할때는 12만쌍이 나오겠죠.

그들이 애를 0.7명 낳으면 8.4만명이 나옵니다. 한해에요.

즉, 내수소비는 앞으로 줄어들 일만 남습니다.

 

외국인이 메운다?

외국인 근로자는 절대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들의 목적은 돈을 벌어서 본국의 가족에게 보내는 겁니다.

그러므로 위 gdp 를 구성하는 가계 소비의 절대 부분이 외국으로 나가게 됩니다.

 

외국인들을 대량 귀화시키면?

이건 이야기가 길어지기에 논외로 하겠습니다만, 개인적으론 사회 통합이 어려울겁니다.

 

이게 가계만 영향을 주는가?

아니죠. 기업은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이 있습니다.

내수기업은 다 영향을 받죠.

 

거기서 끝일까?

우리나라는 자원이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인적자원으로 먹고 산다고 하죠.

인적... 자원이라. 네. 인간을 자원처럼 굴리지 않으면 유지되지 않습니다.

유아때부터 대학때까지, 밤 늦게까지 공부시켜서 품질이 좋은 기업 자원으로 만들고

그들이 다시 70시간이든, 80시간이든 열심히 일한 후에

월급은 덜 가져가면 기업이 투자할 여력이 생길지두요.

기업투자가 늘어나기 힘들죠.

 

정부가 해야지...

정부의 재원은 부채와 세금입니다.

인구가 줄면

둘 다 극단적으로 어려워집니다.

 

수출은?

글쎄요.

트럼프가 안되더라도 세계 무역은 블럭화 되고 있습니다.

예전의 세계는 넓고 할일은 많다 세상이 아닙니다. (저건 대우의 김우중이 한말이죠.)

미국이랑 놀래? 중국이랑 놀래? 하면 무얼 선택하든

둘 다랑 노는거랑 수입이 다르죠.

거기다 중국은 이제 경쟁상대입니다.

 

국내 증시가 안좋은거...

금투세 같은 지엽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그냥, 이제 국내 증시는 버릴때가 된거라 봅니다.

(이래 말하지만, 저도 개인적으론 국내 증시를 해서... 마이너스입니다. ^^;;)

부동산도 시간을 두고, 그리고 수도권과 지방 편차를 보이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좋지 못할겁니다.

 

총체적 위기는 이미 다가오고 있죠.

개별 종목별로 부침은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다시 증시가 3000중반대를 넘어서 아주 활황으로 오는 세월은... 저는 회의적입니다.

 

 

너부장 이야기 11/01/2024
Read more ...

어느날 로그를 보니 

TASK ERROR: command 'apt-get update' failed: exit code 100

라는 에러가 발생해 있었다. 원체  proxmox 자체를 접속하지 않고 그 위에서 돌아가는 vm 만 접속하다 보니 이런 에러가 발생한 줄도 몰랐다.


쉘을 열고 들어가서 apt update 를 실행하니 다음과 같이 에러가 발생했다.



화면에서 apt-get update 를 실행하라고 해서 실행했더니 여전히 동일한 에러가 발생한다.
패키지 캐쉬 파일이 깨졌다는 이야기로 보이는데, 
apt-get clean 명령어를 실행해 보았지만 별 소용이 없다.

rm -rf /var/lib/apt/lists/*
라는 명령어를 통해 리스트들을 다 지운 후 
apt-get update 명령어를 통해 새로 리스트를 작성하니 정상 작동 되었지만,
이것도 순간적으로 작동할 뿐이었고......

결국은
nano /etc/apt/sources.list 명령어로

리포지터리에서

# deb http://ftp.kr.debian.org/debian bookworm main contrib
# deb http://ftp.kr.debian.org/debian bookworm-updates main contrib

로 주석처리 하고,

deb http://ftp.debian.org/debian bookworm main contrib
deb http://ftp.debian.org/debian bookworm-updates main contrib

위와 같이 넣어서 바꿔줘서 해결했다.
원인을 파악하지는 못했지만, 현재로서는 정상 작동한다.






Read more ...

 

스스로든 아니든 데이터 자체에 변형이 가해진걸 원상복구 할 수 있으면 백업, 아니면 백업이 아닙니다.

(휴지통은 좀 다른게, 이건 삭제된게 아니라 그냥 잠깐 안보이게 처리해둔거라 이야기가 다릅니다.)

조금 풀어쓰면, 데이터가 변조(예를 들면 랜섬웨어, 작성자가 문서를 편집, 엑셀파일을 편집 등), 삭제(스스로든 타인이든) 되었는데 이걸 복구할 수 있다면 백업입니다. (백업파일이 있다는 전재 하에...)


raid 를 예로 들면, 데이터의 삭제나 변조의 경우 raid 의 모든 디스크에 대해 작업이 이루어져서 원래의 데이터로는 복원이 안됩니다.

그러니까 백업이 아니죠.


그럼 raid 는 뭐하는 기술이냐? 데이터의 안전성이 아니라 안정성을 위한 기술입니다.

raid 의 경우는 셋팅에 따라 허용하는 한도까지는 디스크가 망가져도 데이터가 원활하게 제공됩니다.

망가진 디스크는 핫스왑이 되는 경우는 컴퓨터 전원을 끄지 않고 그 상태 그대로 디스크를 갈아 끼우면 

보통은 자동으로 raid 가 재구성되면서 복원됩니다.

그 동안에도 데이터는 원활하게 제공되서 서비스는 중단 없이 작동하게 됩니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개인에게 raid 는 별로 필요 없는 기능입니다.

근데, 왜 개인용 pc 나 nas 들이 raid 를 지원하는가...

그건 디스크의 고장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백업 같이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스크 고장의 경우는 백업처럼 사용할 수 있고, 툴로 복구가 불가능한 삭제나 랜섬웨어 같은 경우는 백업처럼 사용하지 못합니다.

그렇다고 원칙적인 백업을 유지하려면

nas 데이터의 완전한 복사본을 별도로 저장해야 하는데, 그럼 비용도 들고 여건도 안되는 경우가 많죠.



raid 자체 : 백업 아님

외장하드에 복사해서 별도 보관 : 백업

pc 자료를 nas 에 동일하게 복사 : 백업

nas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해서 단독 저장으로 사용 : 백업 아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