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버 군에서 나온 제품들은 그 회사 나름대로의 원격 툴이 있다.
예를 들면, hp 에서는 ilo 라는 기능이 있는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고 별도의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원격으로 부팅 뿐만이 아니라, 바이오스 업데이트, os 설치 등 거의 모든 일을 원격으로 할 수 있다.
2. 위의 서비스가 각 업체 별로 특화된 기능이라면, 일반화된 제품들도 있다.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pikvm으로 검색하며 나오는 제품들인데, 검색 시 보이는 가격은 구성품 일부 가격이나 주의가 필요하다.
라즈베리파이나 risk-v칩을 이용한 소형 컴퓨터에 전원과 기타 기능을 연동한 형태로 제품에 따라 바이오스 업데이트나 os 설치 등 원격으로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다.
3. wol
네트워크 어댑터에 매직 패킷을 보내 슬립모드의 pc 를 깨우는 기능이기에 엄밀히 말하면 원격 부팅이라 하기는 좀 그렇지만, 널리 쓰이는 기능이다. 바이오스에서의 설정이 필요하고, 설치된 os 에도 각 os 별로 약간의 세팅이 필요하다.
4. ac power loss
컴퓨터가 연결된 파워에 전기가 들어오면 pc 가 부팅 되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멀티콘센트에 pc 전원을 연결하고 멀티콘센트의 전원스위치를 켜면 pc 가 부팅 되는 형태이다.
일반 콘센트에 스마트 콘센트를 달고 셋팅한 후 여기에 pc 를 연결하면 외부에서도 원격으로 pc 를 켤 수 있게 된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