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는 백업이 아닌 이유.
스스로든 아니든 데이터 자체에 변형이 가해진걸 원상복구 할 수 있으면 백업, 아니면 백업이 아닙니다.
(휴지통은 좀 다른게, 이건 삭제된게 아니라 그냥 잠깐 안보이게 처리해둔거라 이야기가 다릅니다.)
조금 풀어쓰면, 데이터가 변조(예를 들면 랜섬웨어, 작성자가 문서를 편집, 엑셀파일을 편집 등), 삭제(스스로든 타인이든) 되었는데 이걸 복구할 수 있다면 백업입니다. (백업파일이 있다는 전재 하에...)
raid 를 예로 들면, 데이터의 삭제나 변조의 경우 raid 의 모든 디스크에 대해 작업이 이루어져서 원래의 데이터로는 복원이 안됩니다.
그러니까 백업이 아니죠.
그럼 raid 는 뭐하는 기술이냐? 데이터의 안전성이 아니라 안정성을 위한 기술입니다.
raid 의 경우는 셋팅에 따라 허용하는 한도까지는 디스크가 망가져도 데이터가 원활하게 제공됩니다.
망가진 디스크는 핫스왑이 되는 경우는 컴퓨터 전원을 끄지 않고 그 상태 그대로 디스크를 갈아 끼우면
보통은 자동으로 raid 가 재구성되면서 복원됩니다.
그 동안에도 데이터는 원활하게 제공되서 서비스는 중단 없이 작동하게 됩니다.
엄밀하게 따지자면, 개인에게 raid 는 별로 필요 없는 기능입니다.
근데, 왜 개인용 pc 나 nas 들이 raid 를 지원하는가...
그건 디스크의 고장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백업 같이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스크 고장의 경우는 백업처럼 사용할 수 있고, 툴로 복구가 불가능한 삭제나 랜섬웨어 같은 경우는 백업처럼 사용하지 못합니다.
그렇다고 원칙적인 백업을 유지하려면
nas 데이터의 완전한 복사본을 별도로 저장해야 하는데, 그럼 비용도 들고 여건도 안되는 경우가 많죠.
raid 자체 : 백업 아님
외장하드에 복사해서 별도 보관 : 백업
pc 자료를 nas 에 동일하게 복사 : 백업
nas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해서 단독 저장으로 사용 : 백업 아님
댓글 없음: